
아하~ 전례!
- 저자 :
- 윤종식
- 규격 :
- 신국판(145*220)
- 출판일 :
- 2025.04.11
- 정가 :
- 20,000 원
- ISBN :
- 978-89-7108-392-5(03230)
- 키워드 :
- 전례 전례교육 미사전례
소개
이 책은 전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서술되었다. 크게 제1부 ‘응답하라, 전례’, 제2부 ‘슬기로운 전례 상징’, 제3부 ‘아하~ 전례 공간!’, 제4부 ‘알기 쉬운 미사 전례’로 구성되었다. 전례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들, 모형인 전례가 원형인 그리스도의 신비들을 드러내는 데 꼭 필요한 상징들, 전례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신비가 이루어진 장소들을 현재화시키는 성당의 전례 공간들, 그리스도의 일치에 있어서 정점인 미사의 각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교회의 활동이 지향하는 정점이며, 동시에 거기에서 교회의 모든 힘이 흘러나오는 원천”(「전례 헌장」, 10항)인 전례에서 그리스도를 만나는 체험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함이다. 이 책이 신학생과 수도자, 그리고 보다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려는 교우들에게 전례 교육이라는 차원에서 유익한 안내서가 되기를 바란다. - 목 차 - 책머리에 제1부 ‘응답하라, 전례’ 01. 전례는 왜 해야 하는가? 02. 성경에서의 예배는? 03. 전례에서의 성부는? 04. 전례에서의 성자는? 05. 전례에서의 성령은? 06. 전례라는 팥빙수의 팥인 ‘파스카 신비’ 07. 전례는 누가 거행하는가? 08. 전례는 어떻게 거행되는가? 09. 전례는 언제 거행되는가? 10. 전례는 어디에서 거행되는가? 11. 전례 교육은 무엇인가? 12. 전례 생활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제2부 ‘슬기로운 전례 상징’ 01. 대림과 성탄 그리고 재의 수요일의 상징 02. 전례에서의 색깔 03. 전례에서의 동작과 자세 04. 파스카 신비에 폭 빠지게 하는 상징들 05. 전례에서의 거룩한 옷 06. 세례성사의 상징: 물과 성령 그리고 세례수 07. 견진성사의 상징: 도유와 성령칠은 08. 성체성사의 상징: 빵과 포도주 09. 성품성사의 상징: 인호와 안수 10. 혼인성사의 상징: 합의와 반지 그리고 축복 11. 구원의 상징인 ‘하느님의 어린양’ 12. 주일과 여덟째 날 제3부 ‘아하~, 전례 공간’ 01. ‘거룩한 공간’이란? 02. 구약의 ‘거룩한 공간’ 03. 신약의 ‘거룩한 공간’ 04. 하느님 백성의 모임 공간인 성당 05. 시대에 따른 성당의 변천 06. 그리스도교 입문의 첫 장소인 세례 샘 07. 하느님 백성의 자리인 회중석 08. 주님께서 앉으실 주례석 09. 말씀의 선포 장소인 독서대 10.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와 제대 11. 성체의 보존 장소인 감실 12. 화해의 고해소와 찬미의 성가대석 제4부 알기 쉬운 미사 전례 01. 누가, 누구를 만나러 미사에 오는가? 02. 믿음의 증거인 십자성호 03. 성당 문을 들어서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은? 04. 성당 문은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 05. 입당 성가와 입당송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06. 주님의 현존을 청하는 인사 07. 복된 죄로 인하여 하느님의 사랑을 체험하는 참회 08. 모든 것을 정화하고 세례의 은총을 청하는 성수 예식 09. 하늘에서의 찬양이 땅에서도 울리는 대영광송 10. 본기도인가, 모음 기도인가?! 11. 말씀 전례는 하느님과 우리의 대화 12. 전례 개혁에 따른 미사 독서 13. 독서대와 독서자 14. 우리의 응답을 기다리시는 하느님! 화답송 15. 복음 환호송과 부속가 16. 복음의 탁월함 17. 파스카 초의 상징 18. 교회의 ‘신앙 고백’인 ‘신경’ 19. ‘보편 지향 기도’인가, ‘신자들의 기도’인가?! 20. 예물 준비 성가? 봉헌 노래? 21. 감사 기도인가, 성찬 기도인가?! 22. 성변화와 종?! 23. 영성체를 위한 준비 기도인 주님의 기도 24. 평화를 기원하는 그리스도인 25. 주님과의 일치인 영성체 26. 축복 속의 파견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