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부

 

도서안내

전체도서

신간도서 이미지

사제 영성 - 사제 정체성과 양성 사이

저자 :
마우리치오 코스타 Maurizio Costa
역자 :
최정훈
규격 :
신국판(145*220) 376 페이지
출판일 :
2025.09.30
정가 :
24,000 원
ISBN :
978-89-7108-400-7(93230)
키워드 :
영성 사제직 사제양성 사제직무 사제영성

소개

이 책은 인성, 지성, 사목, 영성이라는 네 가지 양성 분야 안에서 영성의 핵심적인 위치를 분명히 밝혀 준다. 인성은 사제 양성의 기초이고, 지성은 도구이며, 사목은 목적이라면, 영성은 사제 양성의 중심이자 핵심이라는 것이다. 좋은 사제는 좋은 사람이라는 토대 위에 세워지고, 철학과 신학, 인문학과 과학의 지식은 좋은 사제가 되기위한 수단이 된다. 이 모든 것은 사목 현장에서 열매를 맺을 수 있는 사목자를 양성하는 데 목적을 지닌다. 반면, 영성은 그러한 모든 활동과 삶에 방향을 제시하고, 색을 입히는 중심이다.

— 옮긴이의 글 중에서 —

 • 들어가는 글	11
1. 논의의 대상과 범위	11
2. 사제 영성의 접근 방법론	19
   2.1. 교리‧영성‧사목의 관계	20
   2.2. 문제 제기 방식에 관한 필수적 기초 요소	24
   2.3. 용어 ‘정체성’ 	25

제 1 부 • 사제 영성의 기초	31

• 들어가며	33

  제1장 • 사제 영성의 두 원천	36
1. 성품성사	37
   1.1. 방법에 관한 기초 자료	38
   1.2. 내용에 관한 기초 자료	40
2. 교구 입적과 성직 자치단/축성 생활회 소속	45
3. 결론	47

  제2장 • 직무 사제직의 기초적 차원	50
1. 삼위일체적 차원: 기원	52
2. 그리스도론적 차원: 근거	54
   2.1. 성서적 맥락	55
   2.2. 조직신학적 맥락	58
3. 성령론적 차원: 영적 실현	69
4. 교회론적 차원: 목적	71
   4.1. 서론	71
   4.2. 교회 ‘안에서’와 교회 ‘앞에서’ 	72
   4.3. 서품 직무가 먼저인가, 그리스도교 교회 공동체가 먼저인가?	72
   4.4 교회를 대신하여(in persona Ecclesiae)	75
   4.5. 교회를 위한 봉사	75
       4.5.1. 직무 사제직과 보편 사제직(공동 사제직/신자들의 사제직)	76
       4.5.2. 친교의 교회를 향한 서품 직무 	84
       4.5.3. 선교(사명) 교회를 향한 서품 직무	95

제 2 부 • 사제의 영성 생활	 99

• 들어가며	101

  제1장 • 성품성사에 기초한 사제의 영성 생활 요소	106
1. 머리이시자 목자이시며 신랑이신 그리스도를 닮음	106
2. 목자의 사랑(caritas pastoralis)	116
3. 직무 수행	120
   3.1. 일반적인 사제 직무	120
   3.2. 말씀 직무자	126
   3.3. 성사 직무자	134
   3.4. 교회 공동체의 권한을 지닌 지도자이며 교육자 	144
4. 복음적 근본주의와 사제 생활의 통합	148
   4.1. 서론	148
   4.2. 생활의 일치	149
   4.3. 복음적 권고	157
       4.3.1. 서론	157
       4.3.2. 순명	159
       4.3.3. 사제 독신 	181
             ① 이론적 전망 및 역사적 전망	182
             ② 본질, 목표, 동기	187
             ③ 사제 독신에 대한 교회법과 사제의 정체성 	190
             ④ 사제 독신과 축성 생활자의 정결 서약	196
             ⑤ 사제의 독신에 관한 장상과 평신도의 책임 	200
       4.3.4. 가난	201
             ① 몇 가지 전제 	201
             ② 가난에 대한 기본 태도	205
             ③ 사제 가난의 중심, 토대, 차원, 동기 및 기준 	208
             ④ 사제 가난의 표현, 특징, 실천	213
             ⑤ 결론	218

  제2장 • 교구 입적 또는 성직 자치단/축성 생활회 소속에
          기초한 사제의 영성 생활 요소	220

1. 서론	220
2. 입적	223
3. 개별 교회 안 사제의 친교	226
   3.1. 전제	226
   3.2. 용어와 언어 표현의 용법 	229
   3.3. ‘친교’ 공동체와 ‘신비’ 공동체인 교회 내 수도 생활	233
   3.4. 친교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235
   3.5. 무엇이 친교를 방해하고 손상시키는가?	236
       3.5.1. 개별 교회, 사제단, 수도 생활에 관한 축소된 신학적 관점	237
       3.5.2. ‘평행 교회’의 개념과 생활 방식 	243
   3.6. 결론	249
4. 교회 내 사제의 ‘풍부한 관계망	250
   4.1. 관계	251
   4.2. 소속	253

제 3 부 • 사제의 영적 양성	 261

• 들어가며	263
1. ‘사제의 영적 양성’ 표현	266
   1.1. ‘양성’ 	267
   1.2. ‘사제 양성’ 	278
        1.2.1. 통시적 관점	280
        1.2.2. 공시적 관점	284
   1.3. ‘사제의 영적 양성’	287
        1.3.1. ‘영적 양성’을 이해하는 두 가지 근본적인 방법 	288
        1.3.2. 영적 양성의 중심성 	291
2. 통합적 사제 양성: 어떻게 실행하는가?	298
   2.1. 두 가지 중요한 전제	299
   2.2. 통합적 사제 양성을 위한 기준	301
   2.3. 통합 양성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인상적인 이미지	303
   2.4. 통합 양성의 잘못된 형태 혹은 환원적 형태	305
        2.4.1. 경험주의적 오류 	305
        2.4.2. 합리주의적 오류	306
   2.5. 일반적인 긍정적 지침	308
3. 통합적 사제 양성: 누가 수행하는가?	309
   3.1. 하느님	310
   3.2. 사제 후보자 	312
   3.3. 교육자	313
       3.3.1. 주교	314
       3.3.2. 신학교 교장	319
       3.3.3. 영성 지도자 혹은 영성 지도 신부	322
       3.3.4. 부교장, 교수, 생활 지도자	333
4. 사제의 영적 양성의 특별한 시기, 내용, 도구, 형태	341
   4.1. 구체적인 생활 계획	342
   4.2. 신학교 내 소통의 형태	346
   4.3. 영성 지도의 실제	349

 • 나오는 글	359
                                            • 참고 문헌	365

                                            • 옮긴이의 글	3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