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곱성사, 하느님 은총의 표지
- 저자 :
- 손희송 지음
- 규격 :
- 145*220
- 출판일 :
- 2011.12.30
- 정가 :
- 18,000 원
- ISBN :
- 978-89-7108-243-0
소개
== 내용 == “성사는 그리스도께서 세우시고 교회에 맡기신 은총의 유효한 표징들로서, 이 표징들을 통하여 하느님의 생명이 우리에게 베풀어진다. 성사 거행의 가시적인 예식은 각 성사의 고유한 은총을 나타내며 이를 실현한다. 성사는 합당한 마음가짐으로 받는 사람들에게 열매를 맺는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1131항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제정된 성사는 “보이지 않는 은총을 전해 주는 보이는 표지”다. 하느님은 인간 삶의 중요한 순간에 교회의 성사 예식을 통해서 그리스도가 당신의 죽음과 부활로 이룩한 구원의 은총을 우리에게 전해 주신다. 인간의 삶 전체가 하느님의 은총에 감싸여 있지만, 이 은총은 특별히 탄생, 성장, 결혼, 질병, 죽음과 같은 인간 실존의 중요한 순간에 세례, 견진, 성체, 고해, 병자, 성품, 혼인성사를 통해 좀 더 특별한 방식으로 선사된다. 이러한 일곱 성사는 성사의 합당한 거행을 통해 은총이 틀림없이 전해지고, 그 은총이 열매를 맺기 위해서는 성사 수취자의 합당한 준비 자세가 요구된다. 이 책은 20년 가까이 가톨릭대학교 신학대학에서 성사론을 강의해 온 저자가 지난 2003년 성사론의 총론에 해당하는 "성사, 하느님 현존의 표지─성사 일반론"을 출간한 데 이어, 9년 만에 펴낸 그 후편 격인 책이다. 저자는 성사론의 각론에 해당하는 이 책에서 일곱 성사, 곧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혼인성사를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각 성사에 대한 내용은 우선적으로 성서적 근거를 살펴 본 후에, 역사적인 발전 과정을 고찰하고, 마지막으로 조직신학적 관점에서 종합하는 방식으로 전개한다. 일곱 성사는 그리스도인의 생활과 떼려야 뗄 수 없는 만큼, 이 책은 성사론을 가르치고 배우는 이들뿐 아니라, 성사 생활을 보다 기쁘고 풍요롭게 하기를 원하는 모든 신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짜임 == 제1장 세례성사 1. 들어가는 말 2. 성서적 근거 2.1. 신약성경에 나타난 세례 2.2. 신약성경에 나타난 세례 이해 3. 교의사적 전개 3.1. 고대 교회 3.2. 중세 초기: 주권 교체로서의 세례 3.3. 스콜라 신학: 체계적인 세례신학의 전개 3.4. 종교개혁자들의 세례 이해 3.5. 트렌토 공의회 3.6.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후의 전례 개혁 운동 4. 조직신학적 고찰 4.1. 세례 사건의 핵심: 그리스도의 운명에 참여,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에 입문 4.2. 세례: 교회 일치의 성사적 끈 4.3. 세례의 필요성 4.4. 유아 세례의 정당성 제2장 견진성사 1. 들어가는 말 2. 성서적 근거 2.1. 성령을 전달하는 고유한 예식의 부재 2.2. 안수와 도유 3. 교의사적 전개 3.1. 하나의 입교 예식으로서의 세례-안수-도유 3.2. 세례와 안수의 분리 3.3. 견진성사의 신학적 의미의 정립 3.4. 견진의 성사성에 관한 논쟁 3.5. 입교 예식의 일부로서의 견진의 재발견 4. 조직신학적 고찰 4.1. 견진의 의미 4.2. 견진성사와 견신례 제3장 성체성사 1. 들어가는 말 2. 성서적 근거 2.1. 구약성경에서의 식사 공동체 2.2. 예수의 복음 선포에 나타난 식사 공동체 2.3. 최후만찬 2.4. 최후만찬 기사 이외의 성찬례 관련 본문 2.5. 요약 3. 교의사적 전개 3.1. 고대 교회의 성찬례 형태: 감사제 3.2. 고대 교회의 성찬례 신학 3.3. 중세의 성찬례 논쟁 3.4. 스콜라 신학의 성찬례 신학 3.5. 종교개혁자들의 성찬례 신학 3.6. 트렌토 공의회 3.7.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전후의 전례 개혁과 교회 일치 운동 4. 조직신학적 고찰 4.1. 성찬례의 기본 주제 4.2. 성찬례와 관련된 특별한 문제들 제4장 고해성사 1. 들어가는 말 2. 성서적 근거 2.1. 구약성경에 나타난 죄의 용서 2.2. 예수에게 나타난 죄의 용서 2.3. 신약의 공동체에서 나타난 용서의 실천 3. 교의사적 전개 3.1. 일회적이고 공개적인 파문 방식 3.2. 반복 가능한 비밀 사죄 방식의 참회 3.3. 교회적 참회 실천의 특별한 형태 3.4. 교회 교도권의 결정 3.5. 20세기의 새로운 전개 4. 조직신학적 고찰 4.1. 고해성사의 구성 요소 4.2. 고해성사의 효과 4.3. 일괄 사죄 4.4. 고해성사와 관련된 사목적 제안 제5장 병자성사 1. 들어가는 말 2. 성서적 근거 2.1. 구약성경에 나타난 질병과 치유 2.2. 신약성경에 나타난 병자 치유 2.3. 병자 치유와 표징 행동 3. 교의사적 전개 3.1. 병자 치유를 위한 성유 3.2. 병자 도유에서 종부성사로의 변천 3.3. 피렌체 공의회 3.4. 트렌토 공의회 3.5. 종부성사에서 다시 병자성사로 4. 조직신학적 고찰 4.1. 병자성사의 의미 4.2. 병자성사의 효과 4.3. 병자성사 집전의 시기 4.4. 병자성사의 교회론적 차원 제6장 성품성사 1. 들어가는 말 2. 성서적 근거 2.1. 구약성경의 사제상 2.2. 신약성경에 나타난 사제상 3. 교의사적 전개 3.1. ‘군주제적 주교직’의 정착 3.2. 교회 직무의 협소화 3.3. 종교개혁 시대의 대결 양상 3.4. 20세기의 새로운 움직임 4. 조직신학적 고찰 4.1. 교회 직무의 변천 과정 4.2. 교회 직무의 고유성 4.3. 성사로서의 서품 4.4. 성품성사의 세 품계 4.5. 교회 직무의 제한 조건 제7장 혼인성사 1. 들어가는 말 2. 성서적 근거 2.1. 창조의 선물로서의 혼인 2.2. 하느님의 인간에 대한 충실의 상징으로 서의 혼인 2.3. 예수: 무조건적 충실을 요구 2.4. 그리스도 신자 간의 혼인: 그리스도와 교회와의 사랑의 표상 3. 교의사적 전개 3.1. 고대 교회: 혼인을 적대시하는 경향과의 다툼 3.2. 중세 초기: 혼인 체결에 관한 교회의 법 적 권한의 증가 3.3. 중세 중기: 혼인의 성사성 확립 3.4. 종교개혁 시대의 대립 3.5. 인격적으로 정향된 혼인관 4. 조직신학적 고찰 4.1. 그리스도와 교회와의 결합의 상징 4.2. 교회의 성사 4.3. 단일성과 불가해소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