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혼돈의 글로벌 시대, 공동체주의를 말하다
- 수상정보 :
- 2022대학출판협회 올해의 우수도서 / 2023년 세종도서 우수도서
- 저자 :
- 최영종
- 규격 :
- 신국판
- 출판일 :
- 2022.05.10
- 정가 :
- 20,000 원
- ISBN :
- 978-89-7108-3482
- 키워드 :
- 공동체 공동체주의
소개
이 책을 관통하는 주제는 ‘공동체주의’이다. 공동체주의는 공동체를 중시한다는 점에서 개인을 중시하는 개인주의, 사회를 중시하는 사회주의, 국가를 중시하는 국가주의, 제도를 중시하는 제도주의 등과 등치관계에 있다. 그리고 공동체주의는 공동체 의식이나 연대감과 같이 비물질적·관념적 요소를 강조한다는 측면에서 군사력과 경제적 이익을 강조하는 ‘현실주의’(realism)나 ‘자유주의’(liberalism) 같은 ‘합리적 물질주의’(rational materialism)와 대비된다. 오늘날 물질중심주의가 가져오는 폐해는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물질주의에 경도된 세계화는 양극화의 심화와 환경 파괴를 가져왔으며, 세계를 위협하는 미·중 패권 경쟁은 물질적 우위에 대한 집착이 주된 원인이다. 코로나19 대유행 상황 속에서 강화되고 있는 자국우선주의는 물질중심주의의 또 다른 폐해이다. 이런 문제들에 대해서 기존의 글로벌 거버넌스 체제는 무력함을 보여 주고 있다. 이 책은 인류가 당면한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해법으로 ‘공동체주의’를 제안한다. - 목 차 - 들어가는 말 제1장 혼돈의 글로벌 시대와 공동체주의 1. 문제의식 2. 공동체주의 분석틀 1) 공동체의 개념 2) 공동체의 유형화 3) 공동체 진화론 3. 지역공동체 사례 1) 지역공동체의 진화 2) 함의 4. 글로벌 공동체 사례 1) 글로벌 공동체의 현 단계 2) 글로벌 의식공동체와 세계 평화 3) 글로벌 공동체 의식의 형성 기제 5. 소결론 제2장 ‘꿈의 충돌’과 글로벌 공동체 1. 세계의 꿈들 1) 미국꿈(American Dream) 2) 유럽꿈(European Dream) 3) 중국몽(China Dream) 2. 꿈이 충돌하는 세계 1) 기성 질서에 대한 중국의 도전 2) 미국의 강압적 가치 외교 3) 전략적 행위자로서 부상하는 유럽연합 3. 글로벌 민주주의 공동체의 형성 1) 미국의 민주주의 연대 구상 2) 유럽연합과 민주주의 공동체 4. 민주주의 공동체와 세계시민주의 5. 소결론 제3장 동아시아와 지역공동체 1. 문제 제기 2. 역사적 개관 1) 전전 일본 주도의 동아시아 공동체 2) 전후 일본 주도의 동아시아 경제권 형성 3) 아세안 주도의 동아시아 공동체 형성 3. 중·일 지위 경쟁과 동아시아 지역주의 1) 민족주의와 지위 경쟁 2) 중‧일 간 국력 변화와 지위 경쟁 3) 중‧일 경쟁과 동아시아 지역주의 4. 동아시아 공동체의 전망 1) 중국 주도의 아시아 운명공동체 2) 일본이 지향하는 인도태평양 가치공동체 3) 아세안 중심의 동아시아 공동체 4) 한‧중‧일 의식공동체의 형성 5. 소결론 제4장 한‧중‧일 민족주의와 국가공동체 1. 문제 제기 2. 한‧중‧일 민족주의와 근대화 1) 중국의 사례 2) 일본의 사례 3) 한국의 사례 3. 한‧중‧일 국가공동체 1) 국가중심적 중국 2) 사회중심적 일본 3) 개인중심적 한국 4. 한‧중‧일 비교 5. 소결론 제5장 국가공동체와 구조 개혁: 한‧일 신자유주의 개혁 비교 1. 문제 제기 1) 국가의 강도와 신자유주의 개혁 2) 사회자본과 신자유주의 개혁 2. 한국의 신자유주의 개혁 1) 성장과 분배의 대립 2) 신자유주의 개혁의 추진 3) 발전주의적 신자유주의 3. 일본의 신자유주의 개혁 1) 시장 개방 없는 구조 개혁 2) 신자유주의 개혁의 태동(1982~1995) 3) 신자유주의 개혁의 본격화(1996~2006) 4) 신자유주의 개혁의 좌절과 부활(2007년 이후) 4. 한·일 신자유주의 개혁 비교 5. 소결론 제6장 한국의 국가공동체 1. 성숙과 퇴행의 기로에서 1) 고도성장의 길 2) 성숙의 기로에서 2. 운명공동체 실험 1) 사회주의 공동체의 이상 2) 저급한 운명공동체 실험 3. 성숙한 공동체의 지향 1) 성숙한 공동체의 꿈 2) 성숙한 공동체의 조건 3) 실천 방안 4. ‘대한민국의 꿈’을 찾아서 1) 이제 우리도 꿈을 꾸자 2) 원칙 있고 유연한 외교 3) 만리장성이 높으면 돌아가자 4) 선택지를 확대하는 외교 5. 소결론 나오는 말 참고문헌 인명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