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부

 

도서안내

신간도서

  1. 도서 '신앙인을 위한 철학 Philosophy ' 표지
    1

    신앙인을 위한 철학 Philosophy - 신앙의 내용을 어떻게 철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가- What every catholic should know

    저자 :
    피터 크리프트 Peter John Kreeft 지음
    역자 :
    김형수 옮김
    규격 :
    신국판(145*220)
    출판일 :
    2025.06.29
    정가 :
    23,000 원
    ISBN :
    978-89-7108-397-0(03100)
    키워드 :
    철학 인간 행복 신앙인 신앙 그리스도인 이성
  2. 도서 '탈출기 2' 표지
    2

    탈출기 2 - 13,17-18,27 광야의 이스라엘 19,1-24,11 시나이 계약

    저자 :
    최승정 지음
    규격 :
    신국판(145*220)
    출판일 :
    2025.06.10
    정가 :
    23,000 원
    ISBN :
    978-89-7108-396-3(93230)
    키워드 :
    탈출기 시나이계약 광야 이슬라엘
  3. 도서 '마리아와 교회  - 마리아론과 교회론의 관계' 표지
    3

    마리아와 교회 - 마리아론과 교회론의 관계 - 제2권 - 성찰과 자극

    저자 :
    기스베르트 그레사케 Gisbert Greshake 지음
    역자 :
    조한규 옮김
    규격 :
    신국판(145*220)
    출판일 :
    2025.05.30
    정가 :
    35,000 원
    ISBN :
    978-89-7108-395-6(04230)
    키워드 :
    마리아론 교회론
  4. 도서 '가톨릭 교육자의 소명 ' 표지
    4

    가톨릭 교육자의 소명

    저자 :
    리처드 M. 제이콥스 지음
    역자 :
    최준규, 김홍주, 박재신 옮김
    규격 :
    176*250
    출판일 :
    2025.05.30
    정가 :
    16,000 원
    ISBN :
    9788971083857
    키워드 :
    가톨릭 교육 지도자 가톨릭정체성 교육행정
  5. 도서 '영적 실천의 심리 구조 ' 표지
    5

    영적 실천의 심리 구조 - STRUTTURE PSICOLOGICHE DELLA PRASSI SPIRITUALE

    저자 :
    미하일 센마르토니 MIHÁLY SZENTMÁRTONI 지음
    역자 :
    김동규 옮김
    규격 :
    신국판(138*210) / 440 페이지
    출판일 :
    2025.05.20
    정가 :
    24,000 원
    ISBN :
    9788971083949 (93230)
    키워드 :
    영성 심리 영성생활 기도
  6. 도서 '아하~ 전례!' 표지
    6

    아하~ 전례!

    저자 :
    윤종식 지음
    규격 :
    신국판(145*220)
    출판일 :
    2025.04.11
    정가 :
    20,000 원
    ISBN :
    978-89-7108-392-5(03230)
    키워드 :
    전례 전례교육 미사전례 아하 전례
  7. 도서 '(개정판) 영적 식별 ' 표지
    7

    (개정판) 영적 식별 - 신학, 역사, 실천

    저자 :
    마누엘 루이스 후라도, S.I. 지음
    역자 :
    박일 옮김
    규격 :
    신국판(145*220)
    출판일 :
    2025.03.31
    정가 :
    27,000 원
    ISBN :
    978-89-7108-390-1(93230)
    키워드 :
    식별 영적지도
  8. 도서 '역사서  Libri Storici' 표지
    8

    역사서 Libri Storici

    저자 :
    필립포 마니니 지음
    역자 :
    박요한 영식(박영식) 옮김
    규격 :
    신국판(145*220)
    출판일 :
    2025.03.31
    정가 :
    28,000 원
    ISBN :
    978-89-7108-391-8(93230)
    키워드 :
    성서 역사서 하느님말씀
  9. 도서 '이라크 교회 ' 표지
    9

    이라크 교회 - 초기부터 우리 시대까지 교회의 역사와 발전과 사명

    저자 :
    페르난도 필로니 지음
    역자 :
    한영만 옮김
    규격 :
    신국판(145*220)
    출판일 :
    2025.03.31
    정가 :
    20,000 원
    ISBN :
    978-89-7108-393-2(93230)
    키워드 :
    그리스도교 공동체 메소포타미아 동방가톨릭교회 고대그리스도교 라틴교회
  10. 도서 '그리스도교 신자의 의무와 권리 ' 표지
    10

    그리스도교 신자의 의무와 권리 - 교회법 제2권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

    저자 :
    루이지 사바레세 지음
    역자 :
    김현조 옮김
    규격 :
    신국판(145*220)
    출판일 :
    2025.02.28
    정가 :
    21,000 원
    ISBN :
    9788971083864
    키워드 :
    교회법 그리스도교

책소개 보기

팝업 닫기

신앙인을 위한 철학 Philosophy - 교회법 제2권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

도서 '신앙인을 위한 철학 Philosophy ' 표지

소개

이 책에서는 종교를 믿는 사람들이 왜 철학에 대해 어느 정도 알아야만 하는지를 다루기에 대부분의 전제를 종교적 신앙보다는 철학적 이성에 호소하여 제시했고, 철학의 각 분과에서 논란이 되는 관념들을 연대순이 아닌 주제별로 정리했다. 
  신학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철학의 내용과 개념을 이해해야 한다는 옮긴이의 말처럼, 이 책은 72개의 철학적 물음들을 제기하고 신학적인 내용과 믿음의 내용을 어떻게 이성적으로 이해해야 되는가를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다.
  고(故) 김형수 베드로 신부의 유작(遺作)이 되어 버린 이 번역서가, 철학은 단순한 앎이 아니라 삶이기를 원했던 그의 소망 대로, 믿음을 이성으로 이해해서 더 깊은 믿음으로 향하는 발판이 되기를 바란다.

“
철학이란 도대체 무엇일까?
객관적 진리가 과연 존재할까?
자기 인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인간은 자연과 어떤 관계를 맺고 있을까?
인간의 이성으로 신을 알 수 있을까?
신은 존재하는가?
그렇다면 왜 악이 있을까?
행복이란 무엇이고
우리는 그것을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

이 질문 중 하나라도 궁금해한 적이 있는 이라면, 이 책이 바로 당신을 위한 책일 것입니다. 오늘날 저명한 철학자 중 한 사람인 피터 크리프트는 이 책에서 일흔두 가지 철학적 물음들을 제기하고 이를 알기 쉽게 설명하면서 당신의 궁금증을 풀어 줍니다.
이 책은 신앙과 이성이 충돌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신앙인들에게 꼭 필요한 책입니다. 그리스도인이라면 신앙과 관련한 철학 책 한 권쯤은 읽고 간직해야 할 것입니다. 이 책이 바로 그 한 권입니다.  




<목 차> 

옮긴이 故김형수를 그리면서

서 문

I. 인식론
1. 철학이란 무엇인가?
2. 철학은 무엇에 좋은가?
3. 철학을 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인가?
4. 철학은 어디서 시작해야 하는가?
5. 객관적인 진리는 존재하는가?
6. 우리는 그저 이성을 믿어야 하는가, 
   아니면 이성이 신뢰할 만하다는 것을 이성을 통해 
   입증할 수 있는가?
7. 철학적 이성과 종교적 신앙은 본래 적대관계인가, 
   아니면 동맹인가?
8. 진리에 대한 인식은 그 자체로 목적인가?
9. 인간의 앎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10. 자기 인식은 어떻게 가능한가?
11. 이성을 초월하는 어떤 지식이 존재하는가?
12. 인간의 이성으로 신을 알 수 있는가?


II. 형이상학
13. 존재란 무엇인가?
14. 존재는 하나인가, 여럿인가?
15. 보편적인 것은 실재하는 것인가?
16. 본질은 실재하는 것인가?
17. 실체는 실재하는 것인가?
18. 범주는 실재하는 것인가?
19. 정신은 실재하는 것인가?
20. 변화는 자기모순적인가? 
    어떻게 같은 것이 달라질 수 있는가?
21. 실재하는 것은 서로 정도가 다른가?
22. 형이상학과 윤리학은 어떤 관련이 있는가?


III. 특수 형이상학―우주론
23. 인간은 자연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24. 인과관계는 실재하는 것인가?
25. 네 가지 종류의 원인은 존재하는가?
26. 목적적 원인(목적론)은 실재하는 것인가?
27. 시간은 실재하는 것인가?
28. 위계는 실재하는 것인가?
29. 진화는 실재하는 것인가?
30. 시간 여행은 가능한가?
31. 자연의 일관된 형태를 어떻게 입증할 수 있는가?
32. 우주는 생각과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실재하는가?


IV. 특수 형이상학―신
33. 신은 실재하는 것인가?
34. 신은 무엇인가? 신은 누구인가?
35. 우리는 신을 어떻게 알 수 있는가?
36. 신이 존재한다면, 왜 악이 있는가?
37. 신과 시간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38. 자유의지와 신의 섭리는 조화될 수 있는가?
39. 신은 무로부터 어떤 것을 창조할 수 있는가?
40. 신은 논리를 초월하는가?
41. 삼위일체 개념은 자기모순적인가?
42. 왜 유신론이 범신론이나 이신론보다 더 이성적인가?
V. 철학적 인간학
43. 영혼은 무엇인가?
44. 지성과 의지 중 무엇이 우선적인가?
45. 우리에게 자유의지가 있는가?
46. 감정의 역할은 무엇인가?
47. 성, 결혼, 가정의 의미와 중요성은 무엇인가?
48. 인류는 선한가, 악한가?
49. 우리를 악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50. 행복은 무엇이며, 우리는 행복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51. 영혼은 불멸하는가?
52. 죽음에서는 무슨 일이 일어나는가?


VI. 일반 윤리학
53. 윤리학은 종교에 의존하는가? 형이상학에, 
    인간의 철학에 의존하는가?
54. 가장 중요한 윤리적 덕은 무엇인가?
55. 도덕성은 객관적이고 발견되는 것인가, 
    아니면 주관적이고 고안되는 것인가?
56. 천부적이고 양도할 수 없는 권리가 있는가?
57. 각각의 인격은 본질적인 목적인가?
58.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하는가? (공리주의)
59. 인간의 행위를 윤리적으로 선하거나 악하게 만드는 것은 무엇인가?
60. 덕은 인간을 행복하게 만드는가?
61. 양심은 무엇인가?
62. 모든 윤리적 규칙에는 예외가 없는가?


VII. 사회 윤리와 정치 윤리 
63. 국가는 자연적인 것인가 인공적인 것(“사회 계약”)인가?
64. 이상적인 국가는 무엇인가?
65. 국가는 인간과 인간의 삶에 대한 
    공적이고 대중적인 철학을 필요로 하는가?
66. 교회와 국가는 분리되어야 하는가? 
67. 민주주의는 본질적으로 최상의 정부 형태인가?
68. 자유는 본질적으로 선한 것인가?
69. “보수주의자”와 “자유주의자”는 왜 존재하는가?
70. 연대성과 보조성, 공동선과 개인의 선을 어떻게 조화시킬 것인가?
71. 처벌의 목적은 무엇인가?
72. 전쟁은 항상 정당한가?


부록: 기타 철학적 물음들
학문적이지 않은 후기
 

옮긴이의 말
편집 후기









책소개 보기

팝업 닫기

탈출기 2 - 교회법 제2권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

도서 '탈출기 2' 표지

소개

이 책은 탈출기에 대한 주석서다. 탈출기는 구약 전체에서 가장 중요한 텍스트로 알려져 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구약이 “구약”이라고 불릴 수 있는 이유가 이 탈출기가 전하는 내용에서 발견되기 때문이다. 탈출기는 바로 이스라엘 민족의 정체성을 규정하는 사건인 ‘이집트 탈출의 역사’와 ‘시나이 계약’에 대해 전하고 있다. 이 두 사건은 하느님에 대한 이스라엘의 원체험인 동시에 이스라엘과 세상을 향한 하느님의 원계시이기도 하기에, 탈출기는 하느님의 구원역사라는 보다 보편적 지평 위에서 읽혀야 한다. 따라서 이 책은 “야훼 하느님은 이스라엘에게 누구인가?”를 전해 주는 탈출기의 내용을 오늘날의 언어로 해석함으로써 “그렇다면 과연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하느님은 누구인가?”라는 질문과 함께, 억압과 공포로부터 세상을 해방시키시고 약속의 땅에서의 자유와 평화로 이끄시는 하느님을 만나고자 한다. 
  총 3권으로 구성된 󰡔탈출기󰡕는 I권(1,1~13,16)에서는 미디안에서의 부르심과 이집트 탈출을, II권(13,17~24,11)에서는 광야의 이스라엘과 시나이 계약을, III권(24,12~40, 38)에서는 증언판과 성막에 대한 율법적 규정을 다루고 있다. 저자는 탈출기의 본문을 작은 문학적 단위로 나누어 제시하면서 “본문 이해”라는 제목 아래 주석학적 설명을, 그리고 “생각해 볼 것들”이라는 제목 아래 신학적 내용을 다루었다. 주석서라고는 하지만, 특별히 이 책은 학술적 목적이 아닌 사목적 동기에서 쓰였기에 지금 우리가 읽고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 목 차 -

저자의 말_5
참고문헌_8

제3 부 탈출기 13,17-18,27 광야의 이스라엘_15

13,17-22	|이집트로부터의 이동_17
14,1-14	|파라오의 추격_26
14,15-25	|이스라엘 자손들이 바다를 건너다_39
14,26-31	|이집트인들의 죽음_49
15,1-18	|모세의 노래_60
15,19-21	|미르얌의 노래_93
15,22-26	|쓴물_101
15,27-16,36	|만나_109
17,1-7	|마싸와 므리바_127
17,8-16	|아말렉_148
18,1-12	|이트로의 방문_157
18,13-27	|이트로의 충고_164

제4부 탈출기 19,1-24,11 시나이 계약_173

19,1-2	|시나이 산 도착_175
19,3-8	|계약 체결의 약속_179

19,9-15	|계약 체결의 준비_185
19,16-25	|현현_190
20,1-17,	|십계명_200
20,18-21	|백성의 요청_233
20,22-23,33	|계약의 책_237
	21,22-26	|제단_237
	21,1-11	|종_245
	21,12-17	|폭력_259
	21,18-36	|상해_268
	21,37-22,3	|절도_283
	22,4-14	|배상_287
	22,15-16	|처녀_297
	22,17-19	|사형_299
	22,20-26	|약자_303
	22,27-30	|엘로힘_309
	23,1-9	|재판_219
	23,10-13	|안식년과 안식일_326
	23,14-19	|축제_333
	23,20-33	|약속과 당부_340
24,1-11	|시나이 계약_351

부 록_363

1•히브리어 자음의 발음_365
2•히브리어 동사 변화_367
3•시나이 계약 공관_369
4•모세오경(五經)의 명칭_371

책소개 보기

팝업 닫기

마리아와 교회 - 마리아론과 교회론의 관계 - 교회법 제2권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

도서 '마리아와 교회  - 마리아론과 교회론의 관계' 표지

소개

 <마리아와 교회 I>에 이은 후속작으로 총 5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은 신앙인의 모범으로서 마리아에 대해, 제2장은 마리아와 교회의 관계에 대해, 제3장은 성사성(聖事性), 즉 구원의 대상이자 협력자인 마리아에 대해 다루고 있다. 제4장은 마리아의 선재성을, 제5장은 이 책 전체의 전망에 대해 서술한다. 
   마리아는 하느님의 말씀을 받아들이고, 자신을 남김없이 바친 신앙인의 본보기이다. 마리아와 교회의 관계는 그리스도교가 자리매김하던 첫 시기부터 서로 밀접한 관계였고, 따라서 초기 교회의 시작과 정착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마리아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그리스도와 마리아의 관계,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 그리고 마리아와 교회의 관계에 대한 물음은 그리스도교를 올바르게 이해하는 초석이자 주춧돌이다.
   이 책이 마리아론과 교회론의 관계를 바르게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목차 - 

제2권 ∙ 성찰과 자극

∙옮긴이의 글	19
1. 저자와 이 책에 대하여	19
2. 시온의 딸, 마리아, 교회	25
3. 마리아와 교회, 마리아와 성체성사	33

∙자서전적 관점으로 쓴 이 책의 서문	43
1. 교회와 사회와 전기적(傳記的) 관점에 따른 마리아	43
2. 이 책에 대하여	63

제1장∙마리아와 신앙인	79

1.1. 신앙의 차원들	82
1.2. 은총으로서의 신앙과 자유로운 응답	95
 1.2.1. 은총의 현상학	96
 1.2.2. 은총으로서의 종교적 신앙	102
   1.2.2.1. ‘혼인’으로서의 신앙	102
   1.2.2.2. 자유로운 은총으로서의 신앙	109
   1.2.2.3. 사명으로서의 신앙	116
 1.2.3. 신앙의 모범인 마리아	122
   1.2.3.1. 하느님의 은총과 마리아의 자유로운 응답	122
   1.2.3.2. 마리아의 사명	131
   1.2.3.3. 신앙의 모범인 마리아	134
1.3. 결과	141
 1.3.1. 인간학적 기본 요소	141
   1.3.1.1. 은총의 우위성	141
   1.3.1.2. ‘받아들여지는 존재’인 인간	148

1.3.2. 마리아의 신앙과 이와 상반된 신앙	151
   1.3.2.1. ‘신앙의 객관적 내용’과 ‘신앙의 주관적 헌신’의 관계 	151
   1.3.2.2. 공의회의 개혁과 공의회 이후의 반응	158
   1.3.2.3. 마리아 신앙의 ‘예형’	164

제2장∙“마리아는 거룩한 교회다”(알렉산드리아의 치릴로)	173

2.1. 마리아와 교회 - 이해를 위한 접근	175
 2.1.1. 제기되는 질문들	175
 2.1.2. ‘집단적 인격’ 개념 	180
 2.1.3. 삼위일체론에서 이해하는 위격	184
 2.1.4. ‘그리스도의 몸’인 교회	196
   2.1.4.1. 그리스도와 그분의 몸	197
   2.1.4.2. ‘그리스도의 몸’ - 성령 - 마리아	203
2.2. 마리아와 교회: 일치와 차이	213
 2.2.1. 다양한 관점에서 보는 교회	213
   2.2.1.1. 마리아와 ‘신부’인 교회	213
   2.2.1.2. 마리아와 ‘어머니’인 교회	224
   2.2.1.3. 결론	226
 2.2.2. 보충 - ‘어머니인 교회’와 ‘교회 안의 여성’	231
2.3. 결론	238
 2.3.1. 제도들의 과도한 우위	238
   2.3.1.1. 제도들이 지닌 신학적 의미	238
   2.3.1.2. 변화들	244
   2.3.1.3. 왜곡된 것	248
 2.3.2. 마리아와 교회로 향함	253

제3장∙‘하느님의 협력자’(2코린 6,1)인 마리아와 교회	259

3.1. 마리아와 교회 - 구원 과정에 협력	262
 3.1.1. 피조물의 협력?	262
3.1.2. 성령 안에서 이루어지는 성사적 행위	270
3.2. ‘현존’을 통한 교회의 협력	279
 3.2.1. 그리스도 현존의 현재화	279
 3.2.2. 대속적 협력	281
   3.2.2.1. ‘대속’ 개념의 근본 의미	281
   3.2.2.2. 대속의 핵심인 교회와 마리아	286
3.3. 결론: ‘성사성’	293

제4장∙“주님께서는 당신의 첫 작품으로 나를 지으셨다”(잠언 8,32)	301

4.1. 현대 신학자들이 바라보는 ‘역사 이전의’ 마리아와 교회	304
 4.1.1. 피에르 테야르 드 샤르댕 SJ	305
 4.1.2. 빌헬름 클라인 SJ	307
 4.1.3. 페르디난트 울리히와 그의 동료들	325
4.2. 마리아와 교회 - ‘최초의 피조물’?	332
 4.2.1. 해석의 가능성	332
   4.2.1.1. ‘하느님의 영원한 계획’	332
   4.2.1.2. 다른 공간과 시간성?	341
   4.2.1.3. ‘초월적인 위대함’?	344
   4.2.1.4. 최초에 창조된 원형?	348
 4.2.2. 초시간성의 문제	366
   4.2.2.1. ‘그리스도의 역사적 사건’을 거스르는 ‘태초의 결합’?	366
   4.2.2.2. 신화?	375
   4.2.2.3. 논증의 중요성	380
 4.2.3. 보충 - 존재론적 보완	386
4.3. 결론	392
 4.3.1. 창조에 관한 새로운 관점	392
   4.3.1.1. 창조신학의 상황	392
   4.3.1.2. 하느님 현존의 ‘장소’인 창조	397
   4.3.1.3. ‘마리아’가 받은 창조라는 선물	404
 4.3.2. 종교신학의 결론	409
   4.3.2.1. 종교신학의 현주소	411
   4.3.2.2. ‘창조된 지혜’ 안에서 종교들의 일치	425
   4.3.2.3. 그리스도교 신앙의 ‘특별함’	431
   4.3.2.4. 보충 - 마리아와 세계 종교들의 신적 모성	440

제5장∙전망	449

5.1. 몇몇 예술 작품 안에 드러난 마리아	451
 5.1.1. ‘성인’에 관해 예술적으로 묘사할 때 중요한 점	451
 5.1.2. 선별된 예들	454
   5.1.2.1. ‘신적 지혜를 묘사한 이콘’	454
   5.1.2.2. 성모상 ‘착한 의견의 성모’	458
   5.1.2.3. 성모상 ‘가난한 자들의 성모’	461
   5.1.2.4. ‘세 증인 앞에서 어린 예수를 벌주는 마리아‘	472
   5.1.2.5. ‘마리아의 대관식’	476
5.2. 결론을 대신하여	481
 5.2.1. 신학적이고 교회적이며 정책적인 결론	482
 5.2.2. 영적인 결론	484
 5.2.3. 마무리	487

∙약어 및 인용 방식	489

∙참고 문헌	491
1. 공식적․비공식적 교도권 문헌 및 교회 일치 차원의 합의 문헌들	491
2. 참고 문헌(대략 1920년까지)	494
3. 이차 문헌	503

∙인명 색인	579

책소개 보기

팝업 닫기

가톨릭 교육자의 소명 - 교회법 제2권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

도서 '가톨릭 교육자의 소명 ' 표지

소개

이 책은 <가톨릭 학교 교육 문법>에 이은 NCEA의 가톨릭 교육 리더십 단행본 시리즈로 가톨릭 교육 지도자를 위한 신학적․영적 훈련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가톨릭 교육자에게 문화와 정체성을 자기 것으로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가톨릭 교육자로서 지니는 소명 의식은 교육적 역량을 증진시키고 교육자의 행동이 실천적으로 이어지게 하는 본질적인 요소임을 나타낸다.
  이러한 점에서 이 책은 가톨릭 교육자가 갖는 소명 의식은 교육자가 지닌 유능함을 탁월함으로 고양시키며 가톨릭 교육이 지향하는 본질적인 목적을 달성하는 데 원천임을 알린다.
  이 책이 가톨릭 교육 목적에 참여하는 모든 이들에게 실용적인 지침을 제공할 수 있기를 바란다.

- 목 차 - 

개  요
머리말

        제1장. 가톨릭 교육자의 소명: 탁월성의 핵심
      
        제2장. 역량과 기능적 행동 그리고 탁월성과 본질적 행동
     
        제3장. 역량 위에 구축되는 탁월성: 이론적 관점
 
        제4장. 가톨릭 교육자를 위한 탁월성의 비전
 
        제5장. 가톨릭 교육자를 위한 매우 실용적인 문제:  신학적 덕목과 교육적 실천

        제6장. 가톨릭 교육자의 소명: 교육과 행정에서의 마음 챙김
       
주
참고문헌

책소개 보기

팝업 닫기

영적 실천의 심리 구조 - 교회법 제2권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

도서 '영적 실천의 심리 구조 ' 표지

소개

미하일 센마르토니 지음, 김동규 옮김의 영성 심리학 세번째 발간 도서 

<하느님께 나아가는 여정> 2023, <사제, 수도 성소의 심리학> 2024  


가톨릭 신앙과 영성은 인간이 은총의 부르심에 자유롭게 응답하며, 하느님께 마음을 온전히 개방하고 의탁하는 역동적이고 친밀한 인격적 관계를 맺는 내적 체험이다.
전통 영성신학은 심리적 요소들을 간과한 채 ‘신앙과 이성’을 강조해 왔지만, 현대 영성신학은 하느님과 인간 전 존재의 역동적인 관계를 통해 신앙과 인격의 전인격적 성숙 과정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기에 심리학을 도구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이 책은 영성 심리학적 방법론을 통해 인간의 심리적 역동성을 총 5부의 주제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영성생활과 영적 실천의 심리적 구조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심리학과 그리스도교 영성의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모색하는 한편, 영적 성숙과 인격의 성장이 균형 있게 나아갈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영적 실천의 내적 과정을 이해하고 해석하기를 바란다.

- 목차 - 

옮긴이 서문 
서문

제1부 인간학적 기초
 제1장 심리학과 영성 
 제2장 기질, 성격과 영성생활
 제3장 차이 심리학과 영성생활
 제4장 무신론
 제5장 성장의 동력으로서 위기

제2부 정서와 영성생활 
 제1장 정서
 제2장 영적 성장의 역동성 안에서 감정의 역할

제3부 기도의 심리학
 제1장 기도의 심리적 역동성
 제2장 묵주기도
 제3장 묵상기도
제4장 덕의 심리학
 제1장 용서와 화해 
 제2장 침묵
 제3장 여가 시간

제5부 진화 심리학과 영성생활 
 제1장 진화 심리학과 거룩함
 제2장 노후 문제, 도전과 과제

 참고 문헌
 





책소개 보기

팝업 닫기

아하~ 전례! - 교회법 제2권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

도서 '아하~ 전례!' 표지

소개

 이 책은 전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서술되었다. 크게 제1부 ‘응답하라, 전례’, 제2부 ‘슬기로운 전례 상징’, 제3부 ‘아하~ 전례 공간!’, 제4부 ‘알기 쉬운 미사 전례’로 구성되었다. 
  전례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들, 모형인 전례가 원형인 그리스도의 신비들을 드러내는 데 꼭 필요한 상징들, 전례에 있어서 그리스도의 신비가 이루어진 장소들을 현재화시키는 성당의 전례 공간들, 그리스도의 일치에 있어서 정점인 미사의 각 부분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교회의 활동이 지향하는 정점이며, 동시에 거기에서 교회의 모든 힘이 흘러나오는 원천”(「전례 헌장」, 10항)인 전례에서 그리스도를 만나는 체험을 보다 쉽게 하기 위함이다.
  이 책이 신학생과 수도자, 그리고 보다 열심히 신앙생활을 하려는 교우들에게 전례 교육이라는 차원에서 유익한 안내서가 되기를 바란다.

- 목 차 - 

책머리에		

제1부 ‘응답하라, 전례’
01. 전례는 왜 해야 하는가?
02. 성경에서의 예배는?
03. 전례에서의 성부는?
04. 전례에서의 성자는?
05. 전례에서의 성령은?
06. 전례라는 팥빙수의 팥인 ‘파스카 신비’
07. 전례는 누가 거행하는가?
08. 전례는 어떻게 거행되는가?
09. 전례는 언제 거행되는가?
10. 전례는 어디에서 거행되는가?
11. 전례 교육은 무엇인가?
12. 전례 생활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제2부 ‘슬기로운 전례 상징’
01. 대림과 성탄 그리고 재의 수요일의 상징
02. 전례에서의 색깔
03. 전례에서의 동작과 자세
04. 파스카 신비에 폭 빠지게 하는 상징들
05. 전례에서의 거룩한 옷
06. 세례성사의 상징: 물과 성령 그리고 세례수
07. 견진성사의 상징: 도유와 성령칠은
08. 성체성사의 상징: 빵과 포도주
09. 성품성사의 상징: 인호와 안수
10. 혼인성사의 상징: 합의와 반지 그리고 축복
11. 구원의 상징인 ‘하느님의 어린양’
12. 주일과 여덟째 날	

제3부 ‘아하~, 전례 공간’
01. ‘거룩한 공간’이란?
02. 구약의 ‘거룩한 공간’
03. 신약의 ‘거룩한 공간’
04. 하느님 백성의 모임 공간인 성당
05. 시대에 따른 성당의 변천
06. 그리스도교 입문의 첫 장소인 세례 샘
07. 하느님 백성의 자리인 회중석
08. 주님께서 앉으실 주례석 
09. 말씀의 선포 장소인 독서대
10. 그리스도의 희생 제사와 제대
11. 성체의 보존 장소인 감실
12. 화해의 고해소와 찬미의 성가대석

제4부 알기 쉬운 미사 전례
01. 누가, 누구를 만나러 미사에 오는가?
02. 믿음의 증거인 십자성호
03. 성당 문을 들어서기 전에 준비해야 할 것은?
04. 성당 문은 나에게 어떤 의미인가?
05. 입당 성가와 입당송은 같은 것인가, 다른 것인가?
06. 주님의 현존을 청하는 인사
07. 복된 죄로 인하여 하느님의 사랑을 체험하는 참회
08. 모든 것을 정화하고 세례의 은총을 청하는 성수 예식
09. 하늘에서의 찬양이 땅에서도 울리는 대영광송
10. 본기도인가, 모음 기도인가?!
11. 말씀 전례는 하느님과 우리의 대화
12. 전례 개혁에 따른 미사 독서
13. 독서대와 독서자
14. 우리의 응답을 기다리시는 하느님! 화답송
15. 복음 환호송과 부속가
16. 복음의 탁월함
17. 파스카 초의 상징
18. 교회의 ‘신앙 고백’인 ‘신경’
19. ‘보편 지향 기도’인가, ‘신자들의 기도’인가?!
20. 예물 준비 성가? 봉헌 노래?
21. 감사 기도인가, 성찬 기도인가?!
22. 성변화와 종?!
23. 영성체를 위한 준비 기도인 주님의 기도
24. 평화를 기원하는 그리스도인
25. 주님과의 일치인 영성체
26. 축복 속의 파견

참고 문헌

책소개 보기

팝업 닫기

(개정판) 영적 식별 - 교회법 제2권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

도서 '(개정판) 영적 식별 ' 표지

소개

2010년 초판 인쇄되었던  <영적 식별>의 개정판으로 일반 독자들이 좀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희랍어 단어나 문자의 경우 기초적인 뜻을 첨부하였고, 라틴어 인용 구절들의 경우 번역을 첨부하였다.
  이 책은 오늘날 그리스도교 생활, 영성생활, 사도직, 교회 내에서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식별’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거의 평생을 그레고리오 대학교의 영성사 및 영성신학 교수로 재직했던 마누엘 루이스 후라도 신부는 이 책에서 성경 본문에 바탕을 둔 탄탄한 신학적 반성을 제공하면서, 가톨릭 영성에 기여한 교의를 높이 평가하고, 이를 철학과 심리학의 최근 연구들을 통해서 조명하고 있다.
  저자의 관심은 단지 ‘영들의 식별’에만 머물지 않는다. 오히려 시대의 징표, 교회 생활 속에서의 카리스마, 교리, 예언 등 성경에서 암시한 식별의 많은 분야로 향한다. 따라서 이 책은 단지 영적 식별의 역사와 신학을 전개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리스도교 생활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하는 데 필요한 기준점들 또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의미로 이 책은 영성사 연구자와 신학자들의 책상 위에 없어서는 안 될 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영적 지도, 영신 수련 지도자뿐 아니라, 세상 한가운데서 진정한 그리스도교적 의미를 찾는 신앙인들 모두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목 차 - 

Presentación-한국어판에 부쳐	
서론	

제1부 영적 식별 일반
제1장 식별에 대한 성경적 권고                          
제2장 영적 식별과 영들의 식별	
제3장 복음에서의 식별: 성경 자료에 대한 성찰
제4장 식별과 그리스도교적 성숙
제5장 유리한 조건과 불리한 조건	
제6장 착각	
제7장 잠재의식	

제2부 역사의 흐름에 따라서 본 식별
제1장 고대 그리스도교에서의 식별	
제2장 중세기에서의 식별	
제3장 근대에서의 식별	
제4장 우리 시대에 있어서의 식별	

제3부 식별의 적용
제1장 시대의 징표	
제2장 교회 운동과 단체들의 식별	
제3장 “공동체적” 영적 식별인가, “공동으로 하는” 영적 식별인가?
제4장 카리스마 현상들의 식별: 예언, 계시 및 다른 표현들
제5장 진정한 교회적 태도에 대한 식별	
제6장 내적 움직임과 영감들의 식별	
제7장 영들의 식별과 선택	
제8장 성소 식별	
제9장 영적 지도에서의 식별	

에필로그: 하느님 체험에 관하여	

참고 문헌 일반	
인용 성경 구절 색인	
인명 색인	
내용 색인 
옮긴이의 말

책소개 보기

팝업 닫기

역사서 Libri Storici - 교회법 제2권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

도서 '역사서  Libri Storici' 표지

소개

성서는 역사를 이야기한다. 현대 관점에서 볼 때, 성서는 시대적인 측면이나 문화적인 측면과는 거리가 멀 뿐 아니라 연구함에 있어서도 어려운 부분이 있다. 하지만 각 역사는 하나의 역사 안에 통합되어 표현되며 그것을 통해 자기 경험과 정체성에 대해 이야기한다.
   여호수아기, 판관기, 사무엘기, 열왕기는 창조에서 시작하여 성조들을 거쳐 모세의 죽음에 이르기까지 오경의 이야기를 완성한다. 역대기도 이와 비슷한 기간을 다루고 있으며, 에즈라-느헤미야기는 유배 이후의 일부 사건을 이야기로 이어간다. 
   마카베오기 상하권은 헬레니즘 시대에 계약의 충실성을 유지하려는 투쟁에 관한 소식을 덧붙이면서 예수님 시대보다 약 한 세기 전의 시대로 우리를 안내한다. 그리고 룻기와 토빗기는 마치 교훈적인 역사 소설처럼 사람들의 역사를 배경으로 가족 사건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에스테르기와 유딧기는 약자가 강자를 이기는 상상의 대항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이 책에서는 하느님의 말씀으로서의 성서에 대한 믿음에 기초를 두고, 성서를 우리 전통의 고전으로 여기라고 강조하고 있다. 

- 목 차 - 

⁃ 번역에 사용된 약어의 표기
⁃ 성서 책들의 약어표
⁃ 들어가는 말

제1장.  성서의 역사 서술
제2장.  역사서 바깥의 역사
제3장.  신명기계 역사 작품
제4장.  여호수아와 정복의 선물
제5장.  하느님의 대행자 판관 
제6장.  사무엘기 상권: 
      사무엘, 사울, 다윗 그리고 왕정의 시작
제7장.  사무엘기 하권: 다윗 왕국
제8장.  열왕기 상권: 임금, 현인, 예언자
제9장.  열왕기 하권: 왕국의 최후까지
제10장. 아담부터 유배에서 귀환까지: 
       역대기와 에즈라-느헤미야기
제11장.  역대기 상권: 아담부터 다윗까지
제12장.  역대기 하권: 임금과 성전
제13장.  유배에서 귀환: 에즈라-느헤미야기
제14장.  조상들의 전통을 위해 싸우고 죽다:
        마카베오기
제15장.  마카베오기 상권: 율법을 위하여 싸우다 
제16장.  마카베오기 하권: 율법을 위하여 죽고 싸우다 
제17장.  평화이야기: 룻기
제18장.  주사위는 던져졌다: 에스테르기
제19장.  여자의 손을 통한 구원: 유딧기
제20장.  천사와 함께하는 여행에서: 토빗기

책소개 보기

팝업 닫기

이라크 교회 - 교회법 제2권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

도서 '이라크 교회 ' 표지

소개

역사란 과거와 현재, 다른 장소들과 전통들 사이의 무한한 대화이기에 동방의 사도인 성 토마스의 복음선포에 뿌리를 둔 영웅적이고 아주 오래된 교회를 아는 것은 민족들 사이의 연결점을 강화하고, 서로의 문화와 독특한 영적 감성을 깊이 존중하게 만드는 것이다. 메소포타미아의 그리스도교는 그 영광스러웠던 역사 속에서 실크로드라는 길을 통하여 거대한 아시아 대륙의 중국까지, 그리고 그 너머까지 도달했으며, 비록 그 옛날의 관할 지역에 있어서 수적으로는 적지만, 아주 오래되고 단단한 뿌리를 가지고 있다. 
이 책은 메소포타미아에서의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탄생과 성장, 발전에 대한 이해를 도울 뿐만 아니라 공동체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이 공동체가 처한 위기, 박해 상황에서의 신앙의 증거와 매우 강한 힘을 정치 사회학적 맥락에서 설명하고 있다. 
이 책이 동방 가톨릭교회에 대한 이해를 도와주고 그 고통받는 교회의 신자들을 기억하고 여러 방법으로 그들을 돕는 데에 작은 역할이 있기를 희망한다.

- 목 차 - 

⁃ 한국어판 서문
⁃ 서 문
⁃ 들어가면서

제1장.  고대 그리스도교 공동체들
제2장.  아랍, 몽골, 투르크메니
제3장.  메소포타미아의 라틴 교회: 사파비 왕조와 오스만 시대
제4장.  20세기 인구학적․지리적 격변과 이라크의 탄생
제5장.  교황청과 이라크

책소개 보기

팝업 닫기

그리스도교 신자의 의무와 권리 - 교회법 제2권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

도서 '그리스도교 신자의 의무와 권리 ' 표지

소개

 새 교회법전의 여러 규정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을 법적 토대로 삼고 있다. 특히, 이 책의 중심 주제인 󰡔교회 법전󰡕 제2권 ‘하느님 백성’의 제1편 ‘그리스도교 신자’에 담긴 조항들은 대부분 새롭게 마련된 규정으로, 현대 사회, 문화, 그리고 교회의 현실에 맞춰 정교하게 구성되었다. 입법자는 이 조항들을 통해 신자들이 교회 공동체 안에서 각자의 성소에 따라 성화를 이루고, 교회의 사명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며, 신앙인의 소명을 실천할 수 있도록 법적 기준을 제시한다. 또한 신자들이 교회 구조에 수동적으로 종속되거나 율법주의에 매이는 것을 방지하고, 사목적 쇄신과 사도직의 창조적 실천, 공동체 활동, 단체성 등을 통해 더욱 능동적이고 협력적인 신앙생활을 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그리스도교 신자의 ‘의무와 권리’에 관한 법 규정을 해설하고 있는 이 책을 통해 제도적 의미를 짚어보고 이해를 넓히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 목차 - 

약어표
서 언

들어가기에 앞서
예비 조항들(제204~207조)
제1장 모든 그리스도교 신자의 의무와 권리(제208~223조) 
제2장 평신도의 의무와 권리(제224~231조)
제3장 거룩한 교역자(봉사자) 혹은 성직자(제232~293조)

제4장 성직 자치단(제294~297조)
제5장 신자들의 단체(제298~329조)
결 론

    참고 문헌
    옮기고 나서